탑골이야기
서울노인복지센터의 다양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.
[교육복지과] 이용정보 2탄, 환경을 지키기 위한 작은 발걸음 ‘생활폐기물 분리배출하기’
담당자 ㅣ 2021-01-15 오후 6:14:36 ㅣ 조회: 1648
   
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면서 음식을 주문하거나, 포장 구매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
이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생활폐기물 중 특히 일회용품의 배출량이 심각하게 급증했다고 합니다.
생활폐기물은 매립이나 소각 등 환경을 파괴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.
흔히 사용하는 플라스틱은 매립 후 50년 이상이 지나야 사라지는 심각한 환경오염의 주범이지만,
배출방법만 지킨다면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.
자원순환을 높이고,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어르신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한 상황인데요,
이번 이용정보에서는 생활폐기물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색깔이 없는 투명한 페트병을 사용하고 난 뒤, 다른 색을 가진 페트병과 섞이지 않도록 분리해서 배출하는 방법인데요. 투명 페트병만 모아 우유팩처럼 따로 수거하기로 한 것입니다.
아래 사진을 통해 투명 페트병과 일반 플라스틱의 차이를 보여드리겠습니다.
서울시는 투명 페트병만 별도 분리수거할 경우, 고품질 폐페트병의 해외 수입을 최소화하고 국내산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 페트병은 어디에 재활용 되는 것일까요?
투명 페트병은 비치되어 있는 전용 분리수거함에 아래와 같은 순서로 정리한 후 배출하면 되는데요.
페트병 뚜껑의 경우 재활용 처리 과정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함께 배출해도 된다고 합니다.
비닐을 배출할 경우, 오염된 상태로 배출되면 다른 품목까지 오염시켜 전체적인 재활용률을 떨어뜨리는 주요
원인이 된다고 하니 배출방법을 꼭 참고해주세요.
어르신들께서 비닐, 페트병 분리배출제에 동참해주시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납니다.
분리배출 방법이 헷갈리시는 경우, 언제 어디서나 쉽게 스마트폰으로 재활용품 분리배출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 ‘내 손안의 분리배출’ 어플을 활용해보세요.
추가적으로,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 사용이 증가하면서 버려지는 마스크 양도 늘어나고 있습니다.
함부로 버린 마스크는 2차 감염이나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니 꼭 올바르게 버려주세요.
그냥 버리면 쓰레기지만, 제대로 버리면 새로운 자원이 되는 생활폐기물.
재활용을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참여와 협조가 가장 중요합니다.
어르신들께서도 함께 참여하여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꼭 지켜주세요.
[문의] 교육복지과 최현경 (02-6220-8500)
전체 : 1574 / 현재 : 1/175 페이지
본 사이트는
Internet Explorer 8 이하 버전을
지원하지 않습니다.
Internet Explorer 9 이상으로 업데이트 하거나
크롬, 파이어폭스, 오페라, 사파리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십시오.
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.